강제청산,고객님의 포지션 증거금이 유지 증거금의 요구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포지션이 강제청산되고 해당 포지션의 증거금을 전부 손실하게 됩니다. 시장 평균가격이 강제청산가격에 도달하면 강제청산이 발동됩니다.유지 증거금 비율의 기준값은 BTC 0.5%,ETH,EOS,XRP 1%이고 위험하도의 변경에 따라 변경됩니다.
강제청산 가겨은 거래자가 선택한 레버리지, 진입가격, 유지 증거금에 의하여 계산됩니다.
강제청산가격의 계산공식(격리 마진)
롱포지션
강제청산 가격(LP) = (진입가격 X 레버리지)/{레버리지+1-(유지 증거금 비율 X 레버리지)}
예시:거래자A가 8,000 USD의 가격으로 롱포지션을 마련하고 레버리지는 50배입니다.
강제청산 가격(LP) = (8000 X 50)/{50+1-(0.5% X 50)}
강제청산 가격(LP) ≈ 7882 USD
숏포지션
강제청산가격(LP) = (진입가격 X 레버리지)/{레버리지-1+(유지 증거금 비율 X 레버리지)}
예시:거래자A가 8,000 USD의 가격으로 숏포지션을 마련하고 레버리지는 50배입니다.
강제청산가격(LP) = (8000 X 50)/{50-1+(0.5% X 50)}
강제청산가격(LP) ≈ 8121.50 USD
강제청산 가격 계산공식(교차 마진)
롱 포지션:
$$ \text{수량} \times( {{{1 \over \text{평균개시 가격}} - {1 \over \text{강제청산 가격} }}}) = -( \text{잔액} -\text{주문비용} - {{{{수량} \over {\text{평균개시 가격}}}\times\text{유지 증거금 비율} }} - {\text{수량} \times 0.00075\over{파산가격}})$$
숏 포지션:
$$ \text{수량} \times( {{{1 \over \text{강제청산 가격}} - {1 \over \text{평균개시 가격} }}}) = -( \text{잔액} -\text{주문비용} - {{{{수량} \over {\text{평균개시 가격}}}\times\text{유지 증거금 비율} }} - {\text{수량} \times 0.00075\over{파산가격}})$$
예시:
거래자B의 계정 잔액은 0.5BTC, 교차마진으로 8,000달러 가격에서 계약 10000개를 구매했습니다. 기타 주문이 없을 경우
$$ \text{파산가격} = {1.00075\times\text{10000}\over{{\text{10000}\over\text{8000}}+ (\text{0.5}-\text{0})}} $$
= 5718.57
$$ \text{10000} \times( {{{1 \over \text{8000}} - {1 \over \text{강제청산 가격} }}}) = -( \text{0.5} -\text{0} - {{{\text{10000} \over {\text{8000}}}\times\text{0.5%} }} - {\text{10000} \times 0.00075\over\text{5718.57}})$$
강제청산 가격 = 5739.50
파산가격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비고:롱포지션의 강제청산가격은 소수점을 위로 0.5 또는 정수로 반올림하고 숏포지션의 강제청산가격은 소수점을 아래로 0.5 또는 정수로 반올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