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산가격은 포지션의 개시 증거금을 전부 손실될 경우에 대응된 거래가격을 의미합니다.
격리마진
구매/공매수:
$$\text{파산가격} = {\text{진입가격} \times { \text{레버리지}\over(\text{레버리지} + 1)}} $$
판매/공매도:
$$\text{파산가격} = {\text{진입가격} \times { \text{레버리지}\over(\text{레버리지} - 1)}} $$
강제청산이 발동될 경우, 청산된 포지션은 파산가격으로 거래되고 포지션에 사용된 증거금도 전부 손실됩니다. 해당 포지션의 실제 청산가격이 파산가격보다 유리할 경우, 나머지 증거금은 보험기금으로 들어갑니다. 반대로 해당 포지션의 실제 청산가격이 파산가격보다 불리할 경우, 보험기금통해 손실차이를 보충합니다.
파산격은 주문 코스트의 거래 수수료의 계산에도 사용됩니다.
교차마진:
파산가격(구매/공매수):
$$ \text{파산가격} = {1.00075\times\text{수량}\over{{\text{수량}\over\text{평균 진입가격}}+ (\text{잔액}-\text{주문에 사용된 증거금})}} $$
파산가격 (판매/공매도):
$$ \text{파산가격} = {0.99925\times\text{수량}\over{{\text{수량}\over\text{평균 진입가격}}- (\text{잔액}-\text{주문에 사용된 증거금})}} $$
*비고:판매/공매수 포지션의 파산가격은 소수점을 위로 0.5 또는 정수로 반올림하고 판매/공매도 포지션의 파산가격은 소수점을 아래로 0.5 또는 정수로 반올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