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계산법은 거래시작을 하기 전 알아둬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손익계산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래 요인들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바이비트에서는 인버스 무기한계약 (BTCUSD, ETHUSD, EOSUSD, XRPUSD)에서 새로운 포지션 수량 추가시 평균진입가가 변경됩니다.
예시:거래자A는 진입가격 USD 5000에 BTCUSD 롱포지션 1000개의 수량을 보유중입니다. 한시간 뒤, 거래자A는 진입가격 USD 6000에 추가적으로 2000개의 수량을 매수하였습니다. 위 같은 경우 평균진입가격 계산법 아래와 같습니다.
평균진입가 = 총계약수량 / 총 계약가치(BTC)
계산방법:
총계약수량
= 1,000 + 2,000
= 3,000
총 계약가치(BTC)
= (1000 / 5000) + (2000 / 6000)
= 0.53333334 BTC
평균진입가
= (3000 / 0.53333334 BTC)
= 5625.00 USD
주문 체결시 포지션창에서 실시간 변동되는 미실현 손익 확인 가능합니다.
매수와 매도는 계산법이 상이하므로 아래 계산법 참조 바랍니다.
구매/공매수 (롱포지션)
예시:거래자 B는 평균진입가 USD 5000에 BTCUSD 롱 포지션 1000개의 수량을 보유중입니다. 호가창에 최신 시장 가격이 USD 5500일때, 포지션창의 미실현 손익은 0.01819 BTC로 표시 됩니다.
미실현 손익 = 계약수량 x [(1/평균진입가) - (1/최신 시장가)]
= 1000 x [ (1 / 5000) - (1 / 5500) ]
= 1,000 x 0.00001819 BTC
= 0.01819 BTC
판매/공매도 (숏포지션)
예시:거래자 C는 평균진입가 USD 5000에 BTCUSD 숏 포지션 1000개의 수량을 보유중입니다. 호가창에 최신 시장 가격이 USD 4500일때, 포지션창의 미실현 손익은 0.02223 BTC로 표시 됩니다.
미실현 손익 = 계약수량 x [(1/최신 시장가) - (1/평균진입가)]
= 1000 x [ (1 / 4500) - (1 / 5000) ]
= 1,000 x 0.00002223 BTC
= 0.02223 BTC
주의사항:
a) 인버스 무기한 계약의 특성에 따라, 미실현 손익은 USD대신 거래하신 코인으로 계산됩니다. USD는 주로 거래자분들의 편의를 위해 가격 견적 메커니즘의 역할을 하고있습니다.
b) 가격 변동 (예: USD 500)에 따라 수익 또는 손실이 각각 USD 500를 얻거나 잃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c) 레버리지 증가는 수익/손실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대신 포지션 수량와 가격 움직임에 따라 손익이 결정됩니다. 요약하여 안내드리면,
- 레버리지가 증가 할수록 포지션 진입시 개시 증거금이 감소합니다.
- 계약 수량이 많을수록 이익/손실이 증가합니다.
- 진입가격 대비 가격 변동이 클수록 이익/손실이 증가합니다.
d) 포지션 창의 기본 미실현 손익계산은 최신 시장가를 기준으로 표시됩니다. 마우스 커서를 미실현 손익계산에 올려두면 시장 평균가격을 기준으로 미실현된 손익계산 결과를 보여줍니다.
e) 마지막으로 미실현 손익 계산에는 포지션 오픈, 청산, 보유과정에 생긴 수수료와 펀딩비용을 포함되지 않은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2A) 미실현 손익률%
미실현 손익률%은 기본적으로 포지션의 투자수익률(ROI)을 백분율 형태로 나타내며, 미실현 손익과 같이 최신 시장가격의 변동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와 같이 미실현 손익률% 또는 ROI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실현 손익률(%) = [ 포지션 미실현 손익 / 포지션 증거금 ] x 100%
포지션 증거금 = 개시 증거금 + 청산 수수료
거래자 B는 평균진입가 USD 5,000에 BTCUSD 롱 포지션 1,000개의 수량을 보유중입니다. 호가창에 최신 시장가격이 USD 5,500일때, 포지션창의 미실현 손익은 0.01819 BTC로 표시 됩니다. 레버리지 20배로 가정.
위 계산된 미실현 손익 = 0.01819 BTC
개시 증거금 = 계약수량 / (평균진입가 x 레버리지) = 1000 / (5000 x 20) = 0.01 BTC
청산 수수료 = ( 계약수량 / 파산가격 ) x 0.075% = ( 1000 / 4762 ) x 0.075% = 0.00015750 BTC
미실현 손익률(%) = [ 0.01819 BTC / ( 0.01 BTC + 0.00015750 BTC ) ] x 100% = 179.087%
주의사항:
a) 레버리지 증가 조정은 미실현 수익을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이는 실제 이익 증가가 아니며 포지션 마진 감소로 인하여 미실현 손익률%이 증가한 것 입니다. 트레이더 B를 다시 예로 들자면, 레버리지가 20배, 10배, 50배와 상관없이 미실현된 P&L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 레버리지 20배 일때의 미실현 손익 = 0.01819 BTC,미실현 손익률 = 179.09%
- 레버리지 10배 일때의 미실현 손익 = 0.01819 BTC, 미실현 손익률 = 90.20%
- 레버리지 50배 일때의 미실현 손익 = 0.01819 BTC,미실현 손익률 = 437.99%
b) 교차마진에서 포지션 증거금은 코인의 현재 위험한도의 사용가능한 최대 레버리지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면 BTCUSD=100배
포지션 청산시 마감 손익이 계산되며, 보유 자산 페이지 마감 손익에서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미실현 손익과 달리 마감손익 계산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는 미실현 손익과 마감손익의 차이를 요약한 것입니다.
미실현 손익 계산 | 마감손익 계산 | |
포지션 손익 | 포함 | 포함 |
거래 수수료 | 불포함 | 포함 |
펀딩 비용 | 불포함 | 포함 |
포지션이 청산된 후 마감손익의 계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마감손익 = 포지션손익 - 오픈수수료 - 청산수수료 - 지불/수령 총펀딩비용
거래자 C는 평균진입가 USD 5000에 BTCUSD 숏 포지션 1000개의 수량을 보유중입니다. 호가창에 최신 시장 가격이 USD 4500되는 시점에 시장가로 포지션을 청산하였습니다. 포지션 오픈시 시장가로 진행 및 펀딩비용 0.00005 BTC를 지불했다고 가정시
포지션 손익 (위 계산 참조) = 0.02223 BTC 수익
오픈수수료 = (1000 / 5000) x 0.075% = 0.00015 BTC 지불
청산수수료 = (1000/4500) x 0.075% = 0.00016667 BTC 지불
지불/수령 총펀딩비용 = 0.00005 BTC 지불
마감손익 = 0.02223 - 0.00015 - 0.00016667 - 0.00005 = 0.02186333 BTC
주의사항:
a) 위 예시는 포지션 모두 한 주문으로 오픈 및 청산한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b) 부분청산의 경우, 마감손익은 부분청산의 비율대로 모든 비용(포지션 오픈 수수료와 펀딩비용)을 계산합니다. 부분 청산이 차지한 퍼센티지에 의하여 마감손익에 표시됩니다.
마감손익 페이지 마감손익표 바로 아래에 다양한 손익 용어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아래 손익 용어는 각각의 정의와 사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누적 실현 손익
누적 실현 손익 = 첫 거래부터의 모든 (포지션 손익 + 거래수수료 + 펀딩비용)
주의사항:
a) 누적 실현 손익은 영구적이며 재설정이 불가능합니다.
일일 실현 손익
일일 실현 손익 = 24시간 내의 모든 (포지션 손익 + 거래수수료 + 펀딩비용)
주의사항:
a) 일일 실현 손익의 기간은 UTC시간으로 0000UTC부터 다음날 0000UTC로 계산 됩니다.
b) 일일 실현 손익은 영구적이지 않으며, 0000UTC에 재설정 됩니다.
미실현 손익(시장 평균가)
미실현손익(시장 평균가) = 현재 보유한 포지션의 시장평균가 기준 미실현손익
미실현 손익(시장 최신가)
미실현손익(시장 최신가) = 현재 보유한 포지션의 시장최신가 기준 미실현손익